맨위로가기

헨리 7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7세는 잉글랜드의 왕으로, 1485년 보스워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왕위에 올랐다. 그는 튜더 왕조를 창시했으며,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통합을 위해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했다. 헨리 7세는 왕권 강화를 위해 귀족 세력을 억제하고, 효율적인 경제 정책과 외교를 펼쳤다. 그는 재정 안정과 무역 증진을 위해 노력했으며, 스페인, 스코틀랜드 등과의 동맹을 통해 평화를 유지하려 했다. 헨리 7세는 아들 헨리 8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1509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헨리 7세 - 잉글랜드 왕녀 요크의 엘리자베스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4세의 장녀인 요크의 엘리자베스는 헨리 7세와의 결혼으로 튜더 왕조를 공고히 하고 요크 왕가와 랭커스터 왕가의 결합을 상징하며 왕비로서 예술과 문화를 후원하고 자녀 교육에 힘썼다.
  • 네덜란드계 웨일스인 - 캐럴 보더먼
    캐럴 보더먼은 채널 4 퀴즈 쇼 《카운트다운》의 중요 통계 담당자 및 공동 진행, 《루즈 우먼》 진행, 《프라이드 오브 브리튼 어워드》 사회 등 다양한 방송 활동을 펼친 영국의 방송인이자 사회자, 저술가, 사업가이다.
  • 리치먼드 백작 - 제1대 랭커스터 공작 곤트의 존
    에드워드 3세의 아들이자 랭커스터 공작인 곤트의 존은 백년 전쟁 참여, 카스티야 왕위 주장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며 세 번의 결혼으로 랭커스터, 보퍼트 가문을 형성하여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왕가와 연결되었다.
  • 리치먼드 백작 - 제1대 리치먼드 백작 에드먼드 튜더
    오언 튜더와 발루아의 캐서린 사이에서 태어난 에드먼드 튜더는 헨리 6세에 의해 리치먼드 백작 작위를 받았고, 마거릿 보퍼트와의 결혼으로 잉글랜드 왕위 계승에 기여했으며, 장미 전쟁 중 사망했고, 그의 아들 헨리는 훗날 헨리 7세가 되었다.
헨리 7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미를 들고 황금양모 기사단 칼라를 착용한 헨리 7세, 1505년, 네덜란드 화가 그림
헨리 7세, 1505년, 네덜란드 화가 그림
이름헨리 7세
원어 이름Henry VII
출생 이름헨리 튜더, 리치먼드 백작
출생일1457년 1월 28일
출생 장소펨브로크 성, 웨일스
사망일1509년 4월 21일
사망 장소리치먼드 궁전, 서리 주, 잉글랜드
매장일1509년 5월 11일
매장 장소웨스트민스터 사원, 런던, 잉글랜드
서명Henry VII Signature.svg
통치
칭호잉글랜드 왕
재위 시작1485년 8월 22일
재위 종료1509년 4월 21일
대관식1485년 10월 30일
이전 군주리처드 3세
다음 군주헨리 8세
가문
왕가튜더 왕가
아버지에드먼드 튜더, 초대 리치먼드 백작
어머니마거릿 보퍼트
결혼
배우자요크의 엘리자베스 (1486년 결혼, 1503년 사망)
자녀아서 튜더, 웨일스 공
마거릿 튜더, 스코틀랜드 왕비
헨리 8세, 잉글랜드 왕
엘리자베스 튜더 (1492-1495)
메리 튜더, 프랑스 왕비
에드먼드 튜더, 서머셋 공작
기타
아일랜드 영주1483년 4월 9일 - 1509년 6월 26일
리치먼드 백작1478년 - 1485년

2. 가계 및 초기 생애

헨리 튜더는 1457년 1월 28일 웨일스의 펨브룩 성(Pembroke Castle)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리치먼드 백작 에드먼드 튜더(Edmund Tudor, 1st Earl of Richmond)였고, 어머니는 마거릿 보퍼트(Lady Margaret Beaufort)였다. 헨리가 태어나기 3개월 전에 아버지가 사망했기 때문에,[1] 헨리는 어머니와 외삼촌 저스퍼 튜더(Jasper Tudor)의 보호 아래 성장했다.

헨리 7세의 출생지인 남웨일스의 펨브룩 성(Pembroke Castle)


헨리의 가계는 잉글랜드와 웨일스, 프랑스 왕가와 연결되어 있었다. 외할아버지 오언 튜더(Owen Tudor)는 웨일스 앵글시 섬의 펜미니드 튜더 가문(Tudors of Penmynydd) 출신으로, 헨리 5세(King Henry V)의 궁정에서 시종을 지냈다. 오언 튜더는 헨리 5세의 미망인 발루아의 캐서린(Catherine of Valois)과 비밀리에 결혼했고, 그들의 아들 중 한 명이 헨리의 아버지인 에드먼드였다. 에드먼드는 1452년에 리치먼드 백작(Earl of Richmond)에 서임되었다.[1]

헨리의 왕위 계승권은 어머니 마거릿 보퍼트의 혈통을 통해 이어졌다. 마거릿은 랭커스터 공작 존 고트(John of Gaunt, 1st Duke of Lancaster) (에드워드 3세(Edward III)의 넷째 아들)와 그의 세 번째 부인 캐서린 스윈포드(Katherine Swynford)의 증손녀였다. 랭커스터 가문의 왕위 계승 주장을 강화한 것은 바로 이 마거릿 보퍼트의 혈통이었다.

1456년, 아버지 에드먼드는 요크 가문(Yorkists)과의 전투에서 포로가 되어 사망했다. 1461년 에드워드 4세(Edward IV)가 왕이 되자 외삼촌 저스퍼는 해외로 망명했고, 헨리는 윌리엄 허버트의 보호를 받았다. 1471년 에드워드 4세가 왕위를 되찾자 헨리는 브르타뉴(Brittany)로 도망쳐 14년간 망명 생활을 했다.[5]

2. 1. 가계도

wiki

헨리 7세는 곤트의 존의 증손녀 마거릿 보퍼트의 아들이었으며, 곤트의 존은 헨리 7세의 외고조 할아버지가 된다.[68] 헨리 7세의 아버지 리치먼드 백작 에드먼드 튜더는 헨리 5세의 왕비였던 발루아의 캐서린과 오언 튜더 사이에서 태어났다.[1] 헨리 7세의 어머니 마거릿은 에드워드 3세의 넷째 아들 랭커스터 공작 존 고트와 그의 세 번째 부인 캐서린 스윈포드의 증손녀였다.[68]

'''요크 가문'''

에드워드 3세
존, 라이오넬, 에드먼드
랭커스터 왕조리처드 플랜태저넷
(요크 왕조)
에드워드 4세, 리처드 3세
(튜더 왕조)
헨리 7세
엘리자베스, 에드워드 5세
(튜더 왕조)



'''튜더 왕조'''

헨리 7세
마거릿, 헨리 8세, 메리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5세, 마거릿, 메리 1세, 엘리자베스 1세, 에드워드 6세, 프랜시스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 1세, 헨리, 제인 그레이
제임스 1세
=스코틀랜드 왕 제6세
(스튜어트 왕조)


3. 왕위 계승

1483년까지 헨리의 어머니는 요크 가문 출신인 스탠리 경과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리처드 3세에 대한 대안으로 헨리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같은 해 크리스마스, 렌느 대성당에서 헨리는 에드워드 4세의 장녀인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할 것을 맹세했다. 그녀는 왕위 계승자였던 형제들, 즉 탑의 왕자들인 에드워드 5세와 요크 공작 리처드 슈루즈베리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이다.[7] 브르타뉴의 프랑수아 2세로부터 빌린 돈과 보급품으로 헨리는 잉글랜드 상륙을 시도했지만, 그의 음모는 폭로되어 주요 공모자였던 버킹엄 공작헨리 스태퍼드가 처형되었다.[8] 이후 프랑수아 2세의 총리 피에르 랑데의 지원을 받은 리처드 3세는 브르타뉴에서 헨리를 인도해 내려고 했지만, 헨리는 프랑스로 도망쳤다.[9] 프랑스는 그를 환영했고, 두 번째 침공을 위해 기꺼이 군대와 장비를 제공했다.

헨리는 에드워드 4세의 처가 식구인 우드빌 가문의 지지를 얻어 소규모의 프랑스군과 스코틀랜드군을 이끌고 펨브룩셔주 데일 근처 밀 베이에 상륙했다.[10] 그는 삼촌 재스퍼와 옥스퍼드 백작 존 드 비어와 함께 잉글랜드로 진군했다. 웨일스는 역사적으로 랭커스터 가문의 핵심 지역이었으며, 헨리는 그뤼피드의 라이즈의 후손으로서 웨일스 출신과 혈통에 힘입어 지지를 얻었다.[11] 그는 약 5,000~6,000명의 병사로 이루어진 군대를 모았다.[12]

헨리는 리처드가 노팅엄레스터에 증원군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신속하게 리처드와 교전하여 왕위를 장악할 계획을 세웠다.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헨리의 랭커스터군은 1485년 8월 22일 보스워스 필드 전투에서 리처드의 요크군을 결정적으로 패퇴시켰다. 노섬벌랜드 백작헨리 퍼시와 같이 리처드의 핵심 동맹국들과 스탠리 경과 그의 형제 윌리엄 스탠리도 결정적으로 편을 바꾸거나 전장을 떠났다. 보스워스 필드 전투에서 리처드 3세의 죽음은 장미 전쟁을 사실상 종식시켰다.

4. 통치

헨리 7세는 왕권 강화, 재정 안정, 경제 발전, 외교 관계 확립을 통해 잉글랜드 왕국을 안정시켰다.

헨리 7세는 이전의 왕들과 달리 영지 경영이나 재정 운영 경험이 없었지만, 재위 기간 동안 같은 재정 고문들을 유지하며 파산 직전이었던 잉글랜드 국고를 회복하고 재정 운영에 안정을 가져왔다.[29][30] 예를 들어, 재위 초기 몇 달을 제외하고 다이나 남작과 서리 백작만이 재무장관을 역임했다.[30]

헨리 7세는 효율적인 조세 제도를 도입하여 세금 징수를 개선했다. 존 모튼 대주교의 도움을 받아 "모튼의 포크"라는 딜레마 방식을 사용하여 귀족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과했다.[31] 또한 1486년의 회수법을 통해 토지를 획득하여 부를 늘렸다.[32]

이러한 가혹한 정책은 많은 사람들의 반발을 샀고, 헨리 7세 사후 조사위원회가 광범위한 남용 사실을 밝혀내면서 중단되었다.[33] 헨리 8세는 헨리 7세의 가장 미움받는 세금징수원이었던 리처드 엠프슨과 에드먼드 더들리를 반역죄로 처형했다.[35]

헨리 7세는 파운드 아보이르뒤푸아를 무게의 표준으로 확립했고, 이는 나중에 영국 단위계[36] 및 미국 관습 단위계의 일부가 되었다.[36]

헨리 7세의 정책은 평화를 유지하고 경제적 번영을 창출하는 것이었다. 1489년 2월 레동 조약을 체결하고, 이후 에타플 평화 조약을 통해 잉글랜드의 국고를 채우고 프랑스가 잉글랜드 왕위 계승자들을 지원하지 못하도록 했다. 프랑스가 이탈리아 전쟁에 관심을 가지면서 에타플 평화 조약에 동의했다.[40] 헨리는 1492년 10월 부르고뉴 공성전을 벌여 프랑스에 압력을 가했다. 왕이 되기 전 프랑스 왕좌 또는 그 봉신들의 재정적, 물리적 보호를 받았으나,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조선업에 보조금을 지급하여 해군을 강화하고(1495년 포츠머스에 유럽 최초이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건식 도크를 건설), 무역 기회를 개선했다.

헨리 7세는 새로 통일된 스페인이 중요함을 인식한 최초의 유럽 군주 중 한 명이었고, 아들 웨일스 공 아서를 아라곤의 카타리나와 결혼시킨 메디나 델 캄포 조약을 체결했다. 또한 스코틀랜드와 영구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거의 2세기 만에 영국과 스코틀랜드 간의 첫 번째 조약), 딸 마거릿 튜더를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4세와 약혼시켰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 (1493-1519)와 동맹을 맺고 교황 인노켄티우스 8세를 설득하여 헨리의 왕위 계승자들에 대한 파문교황령을 발표하게 했다.

4. 1. 왕권 강화와 내란 진압

튜더 장미: 랭커스터의 붉은 장미와 요크의 흰 장미를 합쳐 만든 문장이다.


헨리 7세의 왕비 요크의 엘리자베스


헨리 7세는 즉위 후 왕권을 굳건히 하기 위해 노력했다. 1486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요크 가문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하여 오랫동안 대립해 온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을 통합했다. 랭커스터 가문의 붉은 장미 문장과 요크 가문의 흰 장미 문장을 결합하여 튜더 장미를 튜더 가문의 문장으로 삼았다.[73] 이 결혼으로 에드워드 3세의 가계에서, 셋째 아들 존 오브 곤트의 후손보다 차남 라이오넬 오브 앤트워프의 딸 필리파의 후손과 결혼한 넷째 아들 요크 공 에드먼드 오브 랭글리의 후손의 왕위 계승권이 우선하는지에 대한 오랜 논쟁이 종결되었다.

에드워드 6세를 자칭한 램버트 심넬


요크 공 리처드를 자칭한 퍼킨 워벡


헨리 7세의 왕위 계승권에 대한 의혹(튜더 왕조 참조)으로 인해 왕위를 찬탈하려는 시도가 잇따랐다. 1486년 램버트 심넬이 리처드 3세의 지지자들에게 추대되어 워릭 백작 에드워드를 자칭하고, 1487년 더블린에서 에드워드 6세로 즉위했다. 에드워드 4세의 여동생 부르고뉴 공 샤를의 왕비 마가렛과 링컨 백작 등이 군대를 일으켰으나, 스토크 필드 전투에서 헨리 7세에게 패했다. 심넬은 사형을 면하고 부엌 하인이 되었고,[73] 링컨 백작은 전사했다.

1490년 퍼킨 워벡이 에드워드 4세의 차남 요크 공 리처드를 자칭하며 리처드 4세로 즉위하고, 부르고뉴 공비 마가렛의 지지를 얻어 잉글랜드에 침공했다. 프랑스 왕 샤를 8세,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4세, 신성 로마 제국 막시밀리안 1세 등이 연루된 국제 문제였으나 결국 실패하고 붙잡혔다. 1499년 워릭 백작 에드워드와 퍼킨 워벡은 탈출을 시도하다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4. 2. 경제 정책

헨리 7세는 영지 경영이나 재정 운영 경험 없이 왕위에 올랐지만, 재위 기간 동안 재정 담당자를 교체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파산 상태였던 잉글랜드의 국고를 회복하고 재정 운영에 안정을 가져왔다.[29][30]

헨리 7세의 그로트(Groat) 화폐


헨리 7세는 엄격한 조세 정책을 통해 세입을 안정시켰다.[31] 존 모턴 대주교의 도움을 받아 "모튼의 포크"라는 딜레마 방식을 사용하여 귀족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과했다.[31] 소비가 적은 귀족은 저축이 많을 것이므로 세금을 감당할 수 있고, 소비가 많은 귀족은 세금을 낼 능력이 있다는 논리였다.[31] 1486년의 회수법을 통해 토지를 획득하여 부를 증가시키기도 했다.[32]

헨리 7세(중앙)와 그의 고문들인 리처드 엠프슨 경과 에드먼드 더들리


그러나 이러한 가혹한 정책은 많은 사람들의 반발을 샀고, 헨리 7세 사후 조사위원회가 광범위한 남용 사실을 밝혀내면서 중단되었다.[33] 헨리 8세는 헨리 7세의 가장 미움받는 세금징수원이었던 리처드 엠프슨과 에드먼드 더들리를 처형했다.[35]

헨리 7세는 파운드 아보이르뒤푸아를 무게의 표준으로 확립하여 영국 단위계[36] 및 미국 관습 단위계의 일부가 되도록 하였다.[36]

헨리 7세는 레동 조약과 에타플 평화 조약을 통해 잉글랜드의 국고를 채우고, 프랑스가 잉글랜드 왕위 계승자들을 지원하지 못하도록 했다. 조선업에 보조금을 지급하여 해군을 강화하고 무역 기회를 개선했으며, 존 캐벗의 탐험을 지원하여 신대륙 발견에 기여하기도 했다.[41]

또한, 네덜란드와 자유 무역 통상 조약을 맺고, 잉글랜드와의 무역 특권을 가지고 있던 베네치아 공화국과 한자 동맹에 대해서는 강경한 태도로 나서 자주권 회복에 힘썼다. 모직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양모 관세를 인상하고, 네덜란드에서 기술자들을 초빙하기도 했다.

4. 3. 외교 정책

헨리 7세의 정책은 평화를 유지하고 경제적 번영을 창출하는 것이었다.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1489년 2월 헨리와 브르타뉴 대표들 사이에 레동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의 조건에 따라 헨리는 도번니 경의 지휘 아래 6,000명의 군대를 파병했는데(브르타뉴의 비용으로), 그 목적은 프랑스가 브르타뉴를 병합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존 M. 커린에 따르면, 이 조약은 영국-브르타뉴 관계를 재정의했다. 헨리는 기옌과 프랑스에서 상실된 다른 플랜태저넷 계승권을 회복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을 시작했다. 이 조약은 프랑스의 브르타뉴 침략에 대한 중립에서 적극적인 개입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38]

헨리는 나중에 에타플에서 프랑스와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의 국고에 돈을 가져다주었고, 프랑스가 퍼킨 워벡과 같은 영국 왕위 계승자들을 지원하지 않도록 했다. 그러나 이 조약은 대가가 있었는데, 헨리는 1492년 11월 브르타뉴에 소규모 침략을 감행했다. 헨리는 브르타뉴를 프랑스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게 하기로 결정하고, 그 목적으로 스페인과 동맹을 맺고 6,000명의 군대를 프랑스에 파병했다.[39] 브르타뉴 정치의 혼란스럽고 다툼 많은 성격이 그의 노력을 훼손했고, 세 차례의 대규모 원정 끝에 의 비용을 들여 결국 실패했다. 그러나 프랑스가 이탈리아 전쟁에 더욱 우려하게 되면서, 에타플 평화 조약에 동의하게 되어 기뻐했다.[40] 헨리는 1492년 10월 부르고뉴 공성전을 벌임으로써 프랑스에 압력을 가했다.

헨리 7세는 새로 통일된 스페인 왕국이 중요함을 인식한 최초의 유럽 군주 중 한 명이었고, 그의 아들 웨일스 공 아서를 아라곤의 카타리나와 결혼시킨 메디나 델 캄포 조약을 체결했다. 그는 또한 스코틀랜드와 영구 평화 조약을 체결했는데(거의 2세기 만에 영국과 스코틀랜드 간의 첫 번째 조약), 그의 딸 마거릿 튜더를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4세와 약혼시켰다. 이 결혼을 통해 헨리 7세는 스코틀랜드와 프랑스 사이의 고대 동맹을 깨뜨리기를 바랐다. 비록 이것이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달성되지는 않았지만, 이 결혼은 결국 헨리의 손녀 엘리자베스 1세 사망 후 마거릿의 증손자 제임스 6세 겸 1세 치하에서 영국과 스코틀랜드 왕관의 통합으로 이어졌다. 헨리는 또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 (1493-1519)와 동맹을 맺고 교황 인노켄티우스 8세를 설득하여 헨리의 왕위 계승자들에 대한 파문교황령을 발표하게 했다.

4. 4. 사법 제도

헨리 7세는 별실재판소를 이용하여 귀족들의 전횡을 다스렸다. 별실재판소는 소규모의 신뢰할 수 있는 추밀원 그룹을 개인 또는 특권 법정으로 활용하여 번거로운 법적 절차를 단축하고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한 이전의 관행을 부활시킨 것이었다. 이를 통해 개인적 권력의 사용이나 왕권에 대한 위협과 관련된 심각한 분쟁을 처리했다.[44]

헨리 7세는 전국적인 규모로 치안판사를 임명했다. 각 주에 임명된 치안판사들은 1년씩 근무하며 해당 지역에서 국가 법률이 준수되도록 하는 주요 임무를 맡았다. 튜더 왕조 시대에 치안판사의 권한과 수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헨리 7세 치세 때 그 절정에 달했다.[48] 헨리는 귀족들에게 적용했던 것과 같은 방식, 즉 채권 및 인정 시스템을 치안판사들에게도 적용하여 그들의 권력과 영향력을 제한했다.[48]

모든 의회 법률은 치안판사의 감독을 받았다. 예를 들어, 1495년 법에 따라 배심원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용의자 배심원을 교체할 수 있었다. 또한 무게와 측정 검사와 같은 다양한 행정 업무도 담당했다.[48]

1509년까지 사법관은 헨리 7세의 법과 질서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무보수였기 때문에 현대 기준과 비교하면 법 집행에 대한 세금 부담이 줄어들었다. 지역 지주들은 이 직책을 지역적 영향력과 명성을 얻을 수 있는 기회로 여겨 기꺼이 봉사했다. 전반적으로 이는 효율성 측면에서나 중세 귀족 내부에 만연한 부패를 줄이는 방법으로 볼 때 헨리 7세의 성공적인 정책 영역이었다.[44]

5. 말년과 사망

1502년, 헨리 7세는 왕세자였던 아들 웨일스 공 아서가 잉글랜드 땀병으로 추정되는 질병으로 러들로 성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큰 슬픔에 잠겼다.[74] 이로 인해 헨리 7세의 차남인 요크 공작 헨리가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평소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던 헨리 7세는 아들의 죽음에 깊은 슬픔을 드러냈으며, 이듬해 왕비 엘리자베스가 사망했을 때는 며칠 동안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아무와도 대화하지 않을 정도로 큰 충격을 받았다. Chrimes는 헨리 7세가 엘리자베스의 죽음에 큰 충격을 받았으며, 그녀의 죽음은 그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고 기록했다.[49]

헨리 7세는 스페인과의 동맹을 유지하고자 교황 율리우스 2세에게 특별 허가를 받아 왕세자 헨리와 아서의 미망인 캐서린과의 결혼을 추진했다. 이는 교회법상 허용되지 않는 관계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스티야의 이사벨라 1세가 사망하고 캐서린의 누이 후아나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캐서린의 입지가 약해지자, 헨리 7세는 이 결혼을 재고하게 되었다. 결국 이 결혼은 헨리 7세의 생전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헨리 7세는 재혼하여 더 많은 상속인을 얻으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나폴리 왕비 요안나, 카스티야의 후아나, 사보이 공작 부인 마가렛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결국 결혼은 성사되지 않았다.[50]

헨리 7세의 임종 장면


헨리 7세와 요크의 엘리자베스의 묘비


헨리 7세 흉상


1503년 이후 헨리 7세는 런던탑을 왕실 거주지로 사용하지 않았으며, 헨리 8세 시대의 모든 왕족 출산은 궁전에서 이루어졌다.[51] 그는 알려진 정부가 없었던 소수의 영국 군주 중 한 명이었으며, 당시로서는 재혼하지 않은 것도 이례적인 일이었다. 아서의 죽음으로 튜더 왕조의 정치적 입지가 불안정해진 상황에서, 헨리 7세는 가족을 잃은 슬픔에 잠겨 스코틀랜드 왕과의 평화 조약을 존중해야 했다.[56]

헨리 7세는 1509년 4월 21일 리치먼드 궁전에서 결핵으로 사망하여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있는 그가 의뢰한 예배당에 묻혔다.[57] 왕위는 그의 차남인 헨리 8세가 계승했다.[58][59] 헨리 7세의 어머니 마거릿 보퍼트는 두 달 후인 1509년 6월 29일에 사망했다.[60]

6. 자녀

제6대 앵거스 백작 아치볼드 더글러스와 재혼, 이혼
제1대 메스번 영주 헨리 스튜어트와 재혼

헨리1491년 6월 28일1547년 1월 28일(55세)후임 잉글랜드 국왕
아라곤의 캐서린과 결혼, 이혼
앤 불린과 결혼, 처형
제인 시모어와 결혼, 사별
클레페의 앤과 결혼, 이혼
캐서린 하워드와 결혼, 처형
캐서린 파와 결혼엘리자베스1492년 7월 2일1495년 9월 14일(3세)요절
메리1496년 3월 18일1533년 6월 25일(37세)프랑스 루이 12세 왕비
찰스 브랜던과 재혼에드워드1498년1499년요절에드먼드1499년 2월 21일1500년 6월 19일요절캐서린1503년 2월 2일1503년 2월 10일태어나자마자 어머니와 함께 사망



이들 중 성인이 될 때까지 생존한 자녀는 아서, 마거릿, 헨리, 메리 네 명이었다.

7. 헨리 7세를 다룬 작품



(변경 사항 없음: 주어진 결과물이 이미 지시사항을 모두 만족하고 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Tudor Pembroke | Ymddiriedolaeth Harri Tudur | Henry Tudor Trust https://www.henrytud[...]
[1] 서적 Henry VII: The Maligned Tudor King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Limited 2016
[2] 웹사이트 BBC Wales – History – Themes – Pembroke The Main Street http://www.bbc.co.uk[...]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3] 서적 The Isles – A History
[3] 서적 (Unspecified) 1999
[4] 웹사이트 Tudor Monarchs – Henry VII, one http://englishhistor[...] Englishhistory.net 2013-02-07
[5] 서적 Royal Exiles: From Richard the Lionheart to Charles II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2013
[6] 서적 Henry VII: The Maligned Tudor King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2016
[7] 서적 (Unspecified) 1977
[8] 서적 (Unspecified) 1973
[9] 서적 (Unspecified) 1973
[10] 웹사이트 Henry Tudor's landing site https://historypoint[...] 2019-01-14
[11] 서적 The Son of Prophecy: Henry Tudor's Road to Bosworth Black Raven Press 1985
[12] 서적 (Unspecified) 1973
[12] 서적 (Unspecified) 1973
[13] 서적 (Unspecified) 1999
[14] 웹사이트 Westminster Abbey website: Coronations, Henry VII and Elizabeth of York http://www.westminst[...] 2013-03-04
[15] 서적 (Unspecified) 2007
[16] 서적 (Unspecified) 1999
[17] 서적 (Unspecified) 1988
[18] 서적 (Unspecified) 1999
[19] 서적 (Unspecified) 2011
[20] 서적 (Unspecified) 1995
[21] 서적 (Unspecified) 1999
[22] 서적 (Unspecified) 1999
[23] 서적 (Unspecified) 1973
[24] 서적 (Unspecified) 1999
[25] 서적 The Perkin Warbeck Conspiracy History Press Limited 2009
[26] 서적 The Perkin Warbeck Conspiracy, 1491–1499 Sutton
[27] 백과사전
[28] 서적 (Unspecified) 1876
[29] 서적 (Unspecified) 1977
[30] 서적 (Unspecified) 1999
[31] 서적 (Unspecified) 1999
[32] 서적 (Unspecified) 1999
[33] 서적 (Unspecified) 2011
[34] 서적 (Unspecified) 1988
[35] 서적 (Unspecified) 2013
[36] 웹사이트 pound avoirdupois http://sizes.com/uni[...] Sizes, Inc. 2016-09-13
[37] harvnb
[38] 논문 Henry VII and the Treaty of Redon (1489): Plantagenet Ambitions and Early Tudor Foreign Policy Curry 1996
[39] harvnb
[40] harvnb
[41] harvnb
[42] harvnb
[43] harvnb
[44] 논문 Bastard Feudalism, Overmighty Subjects and Idols of the Multitude during the Wars of the Roses 2000
[45] 웹사이트 Arthur, prince of Wales (1486–1502) http://www.oxforddnb[...] 2013-10-07
[46] 백과사전 Wales and the Marches in the Fifteenth Century Sutton Publishing 1972
[47] harvnb
[48] 서적 Early Tudor Government 1949
[49] 웹사이트 Calendar of State Papers, Spain: Supplement To Volumes 1 and 2, Queen Katherine; Intended Marriage of King Henry VII To Queen Juana https://www.british-[...] 2020-08-07
[50] 서적 VIVAT REX! An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Accession of Henry VIII The Grolier Club
[51] 서적 A Short History of Early Modern England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52] 웹사이트 Domestic and foreign policy of Henry VII https://web.archive.[...] 2015-11-16
[53] 웹사이트 Henry VII Winter King http://queentohistor[...]
[54] harvnb
[55] 웹사이트 Queen Margaret's Arch https://yorkcivictru[...] 2020-03-09
[56] 웹사이트 Tudor Times https://tudortimes.c[...] 2020-03-09
[57] harvnb
[58] harvnb
[59] harvnb
[60] 웹사이트 Margaret Beaufort, Countess of Richmond https://www.westmins[...] 2021-01-10
[61] 논문 The Wars of the Roses
[62] harvnb
[63] harvnb
[64] 백과사전 Somerset, Earls and Dukes of
[65] 서적 Britain's Royal Families: The Complete Genealogy Vintage Books
[66] harvnb
[67] 백과사전 Henry VII king of England https://www.britanni[...]
[68] 서적 Henry VII Hodder Murray
[69] 서적 Henry VII
[70] 서적 The Isles – A History
[71]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Henry VII
[72]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Henry VII
[73]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Henry VII
[74] 서적 Winter King – Henry VII and The Dawn of Tudor England Simon & Schuster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